도도주인's 일상 셀프 코칭

생각만 하던 목표, 글로 적는 순간 달라집니다 – 버킷리스트 가이드

냥냥주인 2025. 5. 8. 23:13

생각만 하던 목표, 글로 적는 순간 달라집니다 – 버킷리스트 가이드

“버킷리스트”라는 말, 너무 익숙하죠.
하지만 단지 ‘죽기 전에 해보고 싶은 일’로만 정의하기엔 이 말은 너무 작습니다.

 

숲길을 걷는 여성 – 나만의 길을 찾기 위한 여정

 

 

요즘의 버킷리스트는
단순한 꿈의 나열이 아니라,
‘내가 진짜 원하는 삶’을 구체화하는 도구로 쓰입니다.

 

막연한 바람은 흘러가지만,
글로 쓴 목록은 방향이 됩니다.

 

그걸 보는 순간,
우리는 인생을 기억하고, 상상하고, 움직일 준비를 하게 되죠.

 

이제부터는 단순한 ‘희망 사항’을 적는 게 아니라,
실제로 삶을 바꾸는 버킷리스트를 써볼 차례입니다.

 

오늘은 당신의 진짜 삶을 향한 나침반,
버킷리스트를 7단계로 설계하는 실전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1. 키워드로 나를 정리해보기.

‘하고 싶은 것’을 떠올리기 전에,

나는 어떤 사람인지 먼저 확인해봅니다.

 

내가 자주 쓰는 말, 관심 있는 주제, 요즘 끌리는 책이나 콘텐츠 등에서

'나를 설명할 수 있는 키워드 5~10개'를 써보세요.

 

예) 성장, 자유, 탐험, 나눔, 창작 등

 

 

2. 카테고리별로 나누기.

막연하게 적기보다 분야를 나누면 생각이 훨씬 구체화됩니다.

 

 ● 자기계발: 배우고 싶은 기술, 도전하고 싶은 분야

 ● 여행·경험: 가고 싶은 장소, 해보고 싶은 일

 ● 경제·커리어: 목표 수익, 직업적 도전

 ● 관계·감정: 맺고 싶은 관계, 나누고 싶은 감정

 ● 건강·라이프: 몸, 마음, 루틴 등 나만의 삶 관리

 

카테고리별로 최소 2~3개씩 작성해보세요.

 

기타를 연주하는 손 – 내가 원하는 삶의 한 장면

 

3. 목표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행복해지기”보다

“2025년까지 제주 한 달 살기”처럼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인 문장으로 적는 게 중요합니다.

 

SMART 기법 참고: 구체적(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현실적(Realistic), 기한 설정(Time-bound)

 

 

4. 감정 중심으로 적어보기.

리스트가 ‘해야 할 일’이 아니라,

‘설레는 일’이 되어야 오래 갑니다.

 

그래서 ‘그걸 했을 때 느낄 감정’을 상상

하며 적어보세요.

 

예) “혼자 일본 여행하기” → “내가 혼자서도 충분히 강하다는 걸 느끼고 싶다”

 

 

5. 우선순위 5개 뽑기.

리스트가 많아지면 ,

오히려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게 됩니다.

'지금 당장 가장 끌리는 5가지'를 동그라미 표시하세요.

 

그 중 단 1개만 이번 달에 실현해보세요.

버킷리스트는 ‘완료 경험’이 쌓일수록 살아있는 목록이 됩니다.

 

 

6. 시각화 & 루틴화

 

VISION 글자가 적힌 나무 블록 – 인생의 방향을 설정하는 나침반

 

 

  포스트잇으로 책상 앞에 붙이기

 ●  노션, 캘린더, 다이어리 등에 반복해서 보이게 하기

 ●  완료 시 체크할 수 있는 ‘버킷리스트 박스’ 만들기

 

시각화는 목표를 뇌에 각인시키고, 루틴화는 그것을 ‘진짜 실행’으로 바꿔줍니다.

 

 

7. 정기적으로 리셋하기.

삶이 변하듯, 버킷리스트도 유연하게 바뀔 수 있습니다.

3개월에 한 번, 혹은 생일, 연말 등 기준점을

정해 기록한 내용을 점검하고 업데이트하세요.

 

지워진 목표보다, 달라진 나의 관심사를 관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버킷리스트는 나의 삶의 GPS다.

당신의 삶은,

당신이 적은 문장만큼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 10분, 시간을 내어 지금 당신이

진짜 원하는 것을 적어보세요.

 

 

“버킷리스트는 미래의 내가 지금의 나에게 보내는 편지다.”